벤처기업을 설립하려고 할때 알아야 하는 조건 과정 알려드려요.
벤처기업은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인정받아 다양한 정부지원과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창업 형태입니다.
벤처기업이란? 자격 조건부터 확인하자
벤처기업은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따라 기술력, 성장성, 혁신성
등을 인정받은 기업을 의미합니다. 단순한 스타트업과는 달리, 공식적인 인증
절차를 통해 ‘벤처기업 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하며, 이를 통해 각종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벤처기업으로 인증받기 위해선 아래 4가지 유형 중 하나에 해당해야 합니다.
1. 벤처투자유형: 벤처캐피탈 등으로부터 일정 금액 이상 투자를
받은 경우
2. 연구개발유형: 자체 기술개발 역량과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
3. 기술평가보증유형: 기술보증기금 또는 신용보증기금의
기술보증을 받은 기업
4. 이노비즈 인증기업: 기술혁신형 중소기업 인증을 받은 경우
이 중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기술보증기금의 평가를 통한 ‘기보형 벤처기업’
인증입니다. 신청 주체는 중소기업이어야 하며, 법인 설립 후 3~7년 이내가
적기입니다.
벤처기업 설립 절차와 확인서 발급 과정
벤처기업으로 인증받기 위해선 단순한 법인 설립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아래의
절차를 참고하여 준비하세요.
1. 법인 설립: 일반 주식회사 형태로 사업자등록 후 등기 완료
2. 벤처확인 신청: 벤처나라 시스템에서 온라인 신청
3. 서류 제출: 사업계획서, 재무제표, 기술보증평가 신청서 등
제출
4. 기술 평가 및 현장 실사: 기술보증기금 등의 평가기관이
기술력과 사업성을 평가
5. 확인서 발급: 평가 통과 시 벤처기업 확인서 발급 (유효기간
2년)
서류 미비나 기술성 부족으로 인증이 반려될 수 있으므로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벤처기업이 누릴 수 있는 주요 혜택
벤처기업으로 인증을 받으면 다음과 같은 실질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1. 세제 혜택
- 법인세 또는 소득세의 최대 50% 감면
- 연구개발비, 투자 세액공제 등 적용
2. 금융 및 보증지원
-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우대보증 및 보증료 할인
- 창업초기자금 우선 배정
3. 기타 지원
- 공공기관 판로지원, R&D 과제 가점, 입주공간 우선 배정
- 해외진출 지원, 벤처 IR 참여 우대
- 여성/청년 창업자 특화 가점 등
벤처기업 확인마크 사용, 정책자금 연계, KOTRA 글로벌 지원사업 등도 가능하므로 반드시 활용하세요.
결론: 사전 준비와 전략이 벤처의 성패를 좌우한다
벤처기업 설립은 단순한 법인 설립을 넘어서, 기술력과 혁신성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인증 절차를 거쳐야 가능합니다. 초기 창업자라면 전문가의 컨설팅을 통해 자격요건을 검토하고, 사업계획서와 기술 자료를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성공의 열쇠입니다. 뜨거운 정부지원 속, 지금이 바로 벤처기업에 도전할 최고의 시점입니다.